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와 붕괴 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는 곧 기존의 재난 대응 체계로는 예측 불가능한 극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전환 기반의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국정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 정책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소방청은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자율기구인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앞서 제기된 복합 재난의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첨단 과학기술을 재난 대응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통합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개편된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소방 정책 전반에 인공지능 등 최신 과학기술을 활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이는 곧 현장의 요구와 미래의 위협을 모두 고려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조치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조직 개편은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더욱 과학적인 재난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은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빈번하게 발생하는 복합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보다 안전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