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발생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가 국민 불편을 야기하는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기록포털 등 핵심 시스템의 중단은 안전 관리와 정보 접근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열어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행정정보시스템 장애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복구 속도를 최대한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2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특히,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긴 연휴 기간 동안 재난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의 중요 기록물을 열람할 수 있는 국가기록포털도 재가동되어 정보 접근성의 공백을 메우고 있다.
정부는 복구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인력을 현장에 투입했으며, 예비비까지 동원하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복구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기간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도 힘쓰고 있다.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시스템 복구에만 그치지 않는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발생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더불어, 시스템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은 즉시 보완하여 행정 공백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국민들에게 안내하고 있다.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사태를 계기로, 정부는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여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복구 현황 공개와 대체 서비스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