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9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 운영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했다. 이 사태는 국민 생활과 공공기관 업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불편을 초래하며 시급한 해결을 요구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1차 회의를 개최하고,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과 민원 처리 실태를 긴급 점검하며 문제 해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복구 상황을 살펴보면, 13일 6시 기준으로 총 260개 시스템(36.7%)이 정상화됐다. 이 중에는 1등급 시스템 30개(75%)와 2등급 시스템 35개(51.5%)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1등급 시스템인 우편정보 ePOST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의 복구는 국민들이 온라인을 통해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물품을 편리하게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길을 다시 열었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 필수적인 서비스도 재개되었다.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중대본은 대국민 주요 서비스와 업무 등급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최단 기간 내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하는 복구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이후 대전 또는 대구 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반면, 화재 및 분진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는 한편, 7-1 전산실과 연관된 시스템은 백업 또는 기존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복구 방안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복구 인원까지 투입하며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원 처리 상황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화재 다음 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에 달했던 장애 관련 콜센터 상담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일일 300건 내외로 줄어들었다. 주요 상담 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이다. 이에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 및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마련하여 국민과 현장의 애로사항 해소에 힘쓰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세부 복구 방안을 추진하여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연일 밤낮으로 복구에 힘쓰는 직원들의 신체적, 정신적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