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예술을 만날 기회가 부족하다는 점이 많은 시민들의 아쉬움으로 남아있다. 도심 속에서 이러한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고 시민들에게 특별한 휴식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극단이 발 벗고 나섰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인다. 이는 단순히 시간을 때우는 여가 활동을 넘어, 예술을 통해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적극적인 문화 정책의 일환이다.
이번 ‘한낮의 명동극’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채로운 장르를 아우르며 관객들에게 폭넓은 예술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은 이러한 예술 향유의 기회를 더욱 확대한다. 특히, ‘문화가 있는 날’이기도 했던 지난 8월 27일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취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공연 안내 방송이 시작되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자연스럽게 멈추었고, 처음에는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던 이들은 이내 공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다양한 소품만으로도 야외 마당은 풍성한 극장으로 변모했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등의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이번 공연은 관객과 무대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는 시도를 통해 단순한 관람을 넘어선 참여형 예술 경험을 제공했다. 연주자는 공연 중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관객들이 공연의 일부가 되는 경험을 선사하며, 일상 속에서 짧지만 강렬한 예술적 순간을 만들어냈다. 아이들과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하기도 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더 넓은 관객층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까지, 누구든 예술을 삶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 용이하며,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국립극단은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과 명동예술극장 내부를 둘러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올해의 표방을 실천하고 있다. 더불어,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은 명동 외 지역에서도 누릴 수 있다.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의 문화공간에서 제공하는 할인, 무료 관람, 두 배로 대출 등 다양한 문화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수 있는 풍성한 콘텐츠 속에서 잠시 멈춰 예술을 만나는 것은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잊지 못할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