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며 극장가에 다시 한번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다. 이는 민생 회복과 영화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7월 25일부터 진행된 450만 장 규모의 1차 할인권 배포에 이은 후속 조치다. 1차 배포 당시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을 재배포하는 이번 정책은, 집에서 편안하게 고가의 OTT 서비스를 통해 영화를 소비하는 경향이 짙어지며 점차 발길이 줄어들던 극장 관객 수를 다시금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원문 자료에 따르면,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무려 1.8배나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데이터에서는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 방문을 뜸했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이었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는 할인권이 단순한 요금 할인 이상의, 관객의 재방문을 유도하는 강력한 촉매제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1차와 달리 선착순으로 진행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하지만 1차 때 할인 혜택을 이용했던 사람들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미리 담긴 1인 2매의 할인권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기존 회원이 아니라면 회원 가입 절차만 거치면 된다. 더욱이 이번 할인권은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폭넓은 관객층의 영화 선택권을 보장한다.
한편, 누리집이나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이들을 위해 070-4027-0279로 문의하면 예매 방법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종합 안내 창구도 운영된다. 이는 어르신들도 차별 없이 영화 할인권을 통해 극장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오랜만에 극장을 찾은 관객들의 얼굴에는 웃음꽃이 피어난다. 친구, 연인, 가족 단위로 극장을 찾는 발걸음이 늘면서 극장은 활기를 되찾은 모습이다. 이러한 현상은, 집에서 편안하게 영화를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극장 특유의 대형 화면과 웅장한 음향, 그리고 문화생활 경험에 대한 갈증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 6천원 할인권이 제공하는 경제적 이점은 이러한 갈증을 해소하고 극장으로의 발걸음을 재촉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영화 산업은 침체기를 벗어나 다시 활황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미성년자 역시 회원 가입 후 할인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젊은 관객층의 유입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선착순이라는 점과 할인권이 소진되기 전에 서둘러야 한다는 점은 이용자들이 유념해야 할 부분이다. 이번 할인권 정책을 통해 극장가에 다시금 생기가 돌고, 많은 이들이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즐거움을 찾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