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이라는 특별한 시기,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한 의약품 사용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고 임신 중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돕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전문가용 ‘임부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 개정판을 10일 발간했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발표된 이번 개정판은 ‘임산부의 날’을 맞아 공개되었으며, 임신부와 가족들이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최신 의약품 허가사항과 진료지침을 담은 실무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강화했다.
이번 정보집은 임신 중 흔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과 질환에 대한 안전한 의약품 선택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감기, 입덧, 변비, 속쓰림 등 임신부가 겪기 쉬운 증상에 대해 어떤 의약품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최근 관심이 높아진 비만 치료제 등 신규 의약품에 대한 최신 안전 정보도 포함했다. 또한, 고혈압, 심장병, 갑상선 질환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여성 환자가 임신을 계획할 때 복용하던 의약품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특히, 임신 기간 동안 발생하는 혈장량, 심박출량, 자궁 혈류 등의 생리적 변화는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번 개정판은 이러한 약동학적·약력학적 변화가 임신 시기별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시기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약물 선택과 투여 방법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투여 시기와 방법, 위해성과 이익의 균형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태아 위험도는 약물 성분, 용량, 기간, 병용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구체적으로, 감기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적절한 습도 유지가 우선되어야 한다. 다만, 임신 초기 38℃ 이상의 고열이 지속될 경우 태아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필요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진통제 복용이 허용된다. 콧물·코막힘에는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기침에는 덱스트로메토르판 성분 의약품 사용이 가능하며,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하루 4000mg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인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은 임신 20~30주에는 최소량·최단기간만 사용하고, 30주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고된다. 변비 증상 개선을 위해서는 수분 섭취와 생활습관 개선이 먼저 권장되며, 증상 지속 시 락툴로즈 또는 차전자피 성분 의약품 복용이 가능하다.
또한, 임신 중 체중 관리는 만성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태아 저성장을 유발할 수 있는 체중 감량 다이어트는 지양해야 한다. 특히 토피라메이트 등 일부 성분은 태아 기형 유발과 관련이 있어, 해당 성분이 포함된 다이어트 보조제는 권장되지 않는다.
이번 정보집 개정판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www.mfds.go.kr) 및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누리집(www.drugsafe.or.kr)의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임신 중 의약품 사용은 반드시 의사·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하며, 모체와 태아의 건강에 직결되는 만큼 사용하고자 하는 의약품의 안전성 정보를 충분히 확인하고 기대되는 유익성과 위해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이번 정보집 발간을 통해 임신부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사용을 돕고, 의약 전문가들에게 최신 복약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임신한 여성과 태아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