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화장품 구매 시 가장 불편함을 겪는 부분 중 하나는 패키지에 작게 인쇄된 정보 가독성 문제이다. 오랜 시간 화장품 제품 뒷면의 작은 글씨들을 더듬으며 사용법, 유의사항, 성분 등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는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통해 소비자의 정보 습득 방식을 혁신하고 나섰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영업자 상호, 내용물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표기 정보를 좁은 면적에 모두 담아야 했다. 이로 인해 글자 크기가 작아져 가독성이 떨어지고, 소비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놓치거나 아예 읽지 않고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특히 고령층이나 시력이 좋지 않은 소비자들에게는 이러한 정보 확인 자체가 큰 장벽으로 작용했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에 필수적으로 표기해야 하는 핵심 정보는 패키지 겉면에 유지하되, 보관법, 제품의 품질 특성, 기능성화장품 표시,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 등 부가적인 세부 정보는 QR코드를 활용한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소비자는 휴대폰 카메라로 QR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확대된 글씨와 명확하게 구분된 인덱스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정책은 소비자 편의성 증진뿐만 아니라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패키지에 인쇄되는 정보량이 줄어들면서 포장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디지털 취약계층을 고려하여 음성변환 기능(TTS)까지 도입될 예정으로, 정보 접근성을 더욱 높일 전망이다. ‘화장품 e-라벨’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 실시 후,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하며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제품군을 확대했다. 1차 시범 사업 당시 6개사 19개 제품에서 시작해 2차 시범 사업에는 13개사 76개 품목이 추가되며 점차 소비자들이 접하는 제품들이 e-라벨을 통한 정보 확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유효기간 없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 확인이 가능한 ‘화장품 e-라벨’은 앞으로 소비자들이 화장품 정보를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솔루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