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이라는 거대한 위기가 관광 분야에서도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 주도형 관광 서비스의 혁신적인 시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각 지역은 고유한 자원을 발굴하고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며, 그 결과 지역 곳곳에서 다채로운 행사와 매력적인 콘텐츠가 새롭게 탄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려는 야심 찬 목표를 담고 있다.
영덕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하는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은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이 사업은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외지 관광객을 다시 영덕 블루로드로 유입시키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가성비 높은 여행 체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액티비티 체험과 웰니스 체험이라는 두 가지 테마 코스를 통해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개인의 취향에 맞는 맞춤형 관광 요소를 제공하며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완주문화재단 역시 스쳐 지나가는 관광지가 아닌,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의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담은 미식 체험형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처럼 영덕군과 완주군을 포함한 여러 지자체는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새로운 관광 방식을 설계하고 있다.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사업으로, 지역의 관광 서비스 문제를 스스로 발굴하고 개선하여 우수 사례를 확산함으로써 지역 관광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은 중앙 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현장 주도형 체계로의 전환을 지향한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최근 군산항 여객터미널은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탄생하며 지역 문화관광의 변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군산문화관광재단은 과거 군산항 여객터미널로 사용되던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으로 만들었다. 20년 만에 부활한 군산항 여객터미널은 군산의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그대로 재현하여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복고 감성을 선사한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았으며, ‘선유도 직행’이라는 문구는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대관 회의실 등이 마련되어 군산 내항을 바라보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배려했다. 특히 동백대교와 내항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옥상에서는 개관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옛 어부의 일상을 보여주는 연극과 노래,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미션 스탬프 투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많은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에는 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등 총 6곳의 재단 및 단체가 선정되어 각 지역 고유의 색깔을 드러내는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고 확산시키고 있다.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러한 지역의 문화적 변화를 직접 체감하고 즐기며, 지역의 문화적 자산을 통해 지방 소멸 위기에 맞서는 새로운 희망을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