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빈틈없는 구급상황관리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드러난 응급 환자 이송 및 병원 선정 과정의 비효율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로 남아있음을 시사한다. 연휴 동안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는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 상담 인력이 204명(60.4%) 보강되었으며,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 또한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 운영되었다. 이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상담 폭증에 대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지만, 근본적인 의료 시스템의 연계 및 효율성 강화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지적할 수 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활용한 적극적인 병원 선정 역할을 수행했으나, 여전히 환자가 진료받을 병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발생했다. 질병 상담과 응급처치 지도 등의 서비스도 제공되었지만, 수치상으로 드러난 상담 건수의 급증은 이러한 시스템이 대량의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데 부담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은 총 5만 6151건, 일평균 8022건으로 평시(4616건) 대비 73.8% 증가했다. 특히 상담이 가장 많았던 날은 추석 당일이었으며,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명절 기간 동안 의료기관의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119에 대한 의존도가 급증했음을 방증한다.
더욱이,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당직 현황과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 공유하며 중증환자 발생 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하려 노력했으나, 경북 지역에서는 진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한 소아 환자들이 서울·경기 지역으로 소방헬기를 이용해 긴급 이송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이는 지역 간 의료 자원의 불균형과 응급 환자 이송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라 할 수 있다. 충북과 전북에서의 조산 위험 임신부 이송 및 구급차 내 출산 지원, 전남 흑산도에서의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 이송 사례는 119 시스템이 생명을 살리는 데 기여했음을 보여주지만, 이러한 긴급 상황이 발생하기까지의 병원 선정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한 소방청은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는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은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후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체계를 마련하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의 언급처럼,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응급 이송 체계의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결국, 명절이라는 특수한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응급 상황에서도 국민들이 불안 없이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촘촘하고 효율적인 응급 의료 시스템 구축이 시급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