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외 관광객, 특히 특정 국가 국민을 대상으로 한 무분별한 혐오 발언과 선동성 허위 정보 유포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개인적인 일탈을 넘어 국가의 경제적 이익과 이미지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로,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사흘 전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한시적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지면서 내수 활성화와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저해할 수 있는 악의적인 정보 확산은 더욱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12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명확히 지적하며 관계 부처에 철저한 단속과 근절 대책 마련을 긴급히 요청했다. 대통령은 “최근 인종 차별이나 혐오 행위들이 너무 많아지는 것 같다”고 언급하며, 해외 관광객 유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막대한 경제적 이익과 대비되는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관광객들이 한번 들어오면 수백만 원씩 돈을 쓰고 가는데, 우리가 수출하기 위해서 얼마나 애를 쓰는지 생각해보라”며, 1000만 명의 관광객이 추가로 입국할 경우 엄청난 수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특정 국가 국민을 겨냥한 ‘말도 안 되는 허무맹랑한 괴담’과 ‘혐오 발언’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으며, 이는 관광객에 대한 감사함과 환영의 자세와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은 “고마워하고 권장하고 환영해도 부족할 판에 혐오 발언하고 증오하고 욕설하고 행패 부리는 것은 매우 잘못된 행위”라고 질타하며, 세계 문화 강국으로 인정받는 대한민국의 위상에 걸맞지 않는 ‘문화적이지 못한, 저질적인, 국격을 훼손하는 행위’를 결코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녹록지 않은 환경 속에서도, 수많은 역경을 헤쳐온 우리 국민들의 위대한 저력을 바탕으로 이러한 문제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대통령은 신뢰를 표했다.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국민을 믿고 국민과 함께 더 나은 삶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는 다짐은, 혐오와 선동이라는 사회적 암초를 성공적으로 헤쳐나가 국가 경제와 이미지를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는다면, 해외 관광객 유치를 통해 기대되는 경제적 효과와 함께 진정한 문화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