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개개인이 ‘공공외교관’으로서 자국을 알리는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과거 한류 열풍이 불기 이전부터 외국인 친구의 한국 전통 결혼식 준비를 도왔던 경험은, 문화적 호기심이 낯선 국가를 향한 발걸음을 이끌고 개인적인 관계를 심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험은 현재 자녀 세대가 세계 문화에 깊이 빠져드는 모습과도 맞닿아 있다. 정부 간 외교의 틀을 넘어, 문화와 예술을 매개로 국민 간 신뢰와 호감을 쌓는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이다.
최근 제7회를 맞은 ‘공공외교주간(Public Diplomacy Week)’은 이러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마련했다.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 행사는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 센터, 각 대사관, 서울광장 등 다채로운 장소에서 진행된다. 올해 공공외교주간은 한국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행사의 가장 근본적인 배경에는, 국민들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제사회와의 협력에 필요한 호감과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콜롬비아와의 커피를 매개로 한 교류는 이러한 공공외교의 가능성을 잘 보여준다. 지난 9월 22일 KF 글로벌 센터에서 열린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 워크숍은 이러한 취지를 잘 드러낸 사례이다.
워크숍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로부터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와 특징, 그리고 콜롬비아 커피 농업 지역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사실까지 생생한 이야기를 들었다. 콜롬비아가 3개의 산맥과 화산재 토양 덕분에 연중 커피 재배가 가능하며, 손으로 수확하고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맛을 낸다는 설명은 참가자들의 흥미를 자아냈다. 또한,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역사적 사실과 무비자 체류로 인한 양국 간의 친밀감은 ‘거리’라는 물리적 장벽을 넘어선 유대감을 느끼게 했다.
이후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가 진행한 커피 추출 시연과 시음 과정은 참가자들의 오감을 만족시켰다. 두 종류의 커피를 비교 시음하며 각자의 취향에 대해 딸과 이야기를 나누고, 다른 참가자들 역시 자신의 선호도를 공유하는 모습에서 같은 커피라도 사람마다 다른 맛을 느끼는 다양성과 그 속에서의 공통된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미나실은 커피 향으로 가득 찼고, 참가자들은 콜롬비아 전통 모자를 쓰고 기념사진을 촬영하며 자연스러운 웃음을 나누었다.
이처럼 공공외교는 단순히 정부의 정책 발표를 넘어, 국민 개개인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며 타국에 대한 이해와 호감을 높이는 과정이다. 이미 외교부는 내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 확대와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 강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한국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국제 행사와 더불어, APEC 회의 개최국으로서 민간외교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지금, ‘공공외교주간’은 국민들이 공공외교의 주체임을 인식하고 국제사회와의 끈끈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필자는 26일 열리는 스페인 행사에도 아들과 함께 참석하여 이러한 공공외교의 의미를 되새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