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강력한 원천으로서 세계적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화적 확산세에도 불구하고, 한국어와 한글의 국제적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더 많은 세계인이 이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곧 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미래를 이끄는 문화적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과제와 직결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핵심 동력임을 강조하며, 이의 국제적 확산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김 총리는 한국어와 한글이 K-팝의 가사, 드라마 및 영화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문화적 교감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우리 문화를 즐기는 세계 청년들의 증가 추세를 근거로 제시했다. 현재 전 세계 87개국에 운영 중인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으며, 이는 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한국만의 것이 아닌 세계적인 문화 자산으로 부상했음을 시사한다.
정부는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가속화하고 한국어와 한글의 문화적 파급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우선,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의 확산을 지원함으로써 언어적 내실을 다질 계획이다. 더 나아가, 현재 운영 중인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접할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한글의 독창성과 활용성을 바탕으로 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여 문화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여 기술적인 경쟁력까지 확보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더불어, 다가오는 APEC에서는 ‘초격차 K-APEC’을 목표로 한국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결실을 맺을 경우, 한국어와 한글은 단순한 언어를 넘어 세계 문화의 지평을 넓히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글이 가진 위대함은 문자로서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에서 비롯된 결과물이라는 점이 재조명될 것이다. 이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통해 세계 문맹 퇴치에 기여하는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지켜낸 선조들의 숭고한 노력이 오늘날 세계 속에서 민족의 정신을 지탱하는 버팀목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궁극적으로 한국어와 한글은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선도하는 강력한 언어이자 문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