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패키지에 빼곡하게 적힌 작은 글씨들 때문에 소비자들은 제품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오랜 시간 동안 소비자들이 제품의 유의사항이나 소비기한을 확인하기 위해 패키지를 뒤집어 보던 습관은 이러한 불편함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정보는 그림자처럼 희미하게만 느껴질 뿐, 중요한 내용을 놓치기 일쑤였다. 이러한 정보 가독성의 문제는 소비자가 제품을 꼼꼼히 확인하고 신중하게 구매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는 ‘화장품 e-라벨’이라는 새로운 모바일 정보 제공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기존의 작은 글씨로만 표기되던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QR코드를 통해 디지털 라벨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제품 패키지에서 제품명, 제조 번호, 소비기한 등 자주 찾는 필수 정보를 크게 확대된 글씨로 확인하고, 안전 정보, 사용법, 성분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를 스캔하여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포장 면적을 차지하던 작은 글씨들을 줄여 소비자에게는 정보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제조사에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1차 시범 사업에서는 특정 브랜드 6개사의 19개 제품이 참여했으며,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에 힘입어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염색약품을 포함한 13개사 76개 품목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2차 시범 사업에는 기존에 포함되지 않았던 염모제 제품군이 추가되면서 더 많은 소비자들이 e-라벨을 통한 편리함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화장품 e-라벨’ 정책은 소비자들에게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포장지 자원 절약을 통한 친환경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이 예정되어 있어 정보 접근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QR코드만 있다면 시공간의 제약 없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소비자들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화장품 정보를 더욱 쉽고 정확하게 습득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는 화장품을 구매할 때 꼼꼼하게 성분을 확인하고 싶지만 작은 글씨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던 많은 소비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화장품 e-라벨’은 앞으로 화장품 정보 확인 방식을 더욱 편리하고 스마트하게 변화시킬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