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갑작스러운 폭우는 많은 이들의 몸과 마음에 무기력함을 안겨주었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 속에서 일상을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는 커지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즉각적인 여행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에서 진행하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지친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본래 전국 곳곳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올해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는 이러한 사업이 서점에서도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SNS를 통해 참여자 모집에 나섰다. ‘가가77페이지’에서 마련한 프로그램은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된다. 필자는 평소 인문학에 대한 깊은 확신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 프로그램을 10회기 모두 신청하며 여름의 지친 일상에서 벗어날 알찬 계획을 세웠다.
‘가가77페이지’는 망원시장 인근에 자리한 독립 서점으로, 단순한 책 판매 공간을 넘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지향하고 있다.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을 전달하기보다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를 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에 있다”고 설명하며, “어렵게만 느껴지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를 바탕으로 연 뒤,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게 다가가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특히, 참여 대상의 폭을 넓히기 위해 선정된 영화의 관람 등급을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으로 제한하고, 다채로운 주제를 다루고자 노력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2025 길 위의 인문학’ 커리큘럼의 자세한 내용은 인문360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첫 회차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관람한 후 진행자의 강연과 인문학적 사유를 나누는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영화의 주제인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은 참여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이 학생들에게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말을 건네듯, 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진정으로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질문하며 현재에 충실하고자 하는 다짐을 새기기도 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주는 의미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 ‘길 위의 인문학’에 참여하는 많은 분들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서점이 단순한 책 판매 공간을 넘어 사람들과 교류하고 문화를 향유하는 공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했다. 또한, 인공지능(AI)의 발전이 인문학의 위기가 아닌 오히려 활용 영역을 넓힐 기회라고 강조하며, 인문학적 사고가 AI와 접목될 때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선 도덕적인 사고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소식을 접하고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녀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또한, 인문학은 짧은 기간에 끝나는 지식이 아니라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깊어지는 분야이기에,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를 희망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며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를 내걸고 있다. 이는 인문학과 지역 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그리고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가77페이지’에서 확인된 이러한 만남의 장은, 우리 주변에서 어떤 인문학을 만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며, 참여자들에게는 지친 일상 속에서 벗어나 자신을 성찰하고 삶의 리듬감을 찾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반기에도 전국 각지에서 이어질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인문학이 결국 자신을 포함한 인간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이끌어준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지역 서점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