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5일,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이 치러진 날, 많은 응시생들의 진지한 모습은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에서 근무하는 김윤서 주무관에게 7년 전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다. 당시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었던 김 주무관은 집과 독서실만을 오가는 어둡고 막막했던 시간을 지나 합격 후에는 어떤 어려움도 웃으며 헤쳐나가고, 모든 민원인을 친절하게 대하겠다는 다짐을 했던 시절을 회상한다. 두 번의 면접 끝에 얻은 합격의 기쁨과 함께, “처음의 마음을 잊지 않는 공무원이 되겠다”는 호기로운 다짐은 7년 후 증명서 발급과 전입신고 접수 등 일상적인 민원 업무를 수행하는 자신을 마주하게 하면서, 그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말이었는지 뒤늦게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개인적인 고뇌와는 별개로, 지역 사회의 일상적인 어려움 속에서 공무원이라는 존재의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이 드러난다. 특히 최근 ‘심각’ 단계로 격상된 산불 상황은 이러한 성찰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김 주무관은 읍장님을 포함한 다섯 명의 직원과 함께 산불 예방을 위한 마을 순찰 및 홍보 활동에 나섰다. 벚꽃도 채 피지 않은 이른 봄, 상춘객은 드물었지만 공설묘지를 찾은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지를 전달하며 주의를 당부하는 과정에서, 산불이 국가적인 재난임을 다시 한번 인지하고 작은 노력이라도 보태는 것이 공무원의 당연한 책무임을 느꼈다. 이러한 활동은 김 주무관의 무뎌졌던 공직에 대한 의식을 다시 일깨우는 중요한 경험이었다.
또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여러 유관기관의 성금 기부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동료 주무관들이 성금 접수로 바쁜 모습을 보며 김 주무관은 우리 지역 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다시금 확인한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김 주무관은 7년간의 공직 생활 동안 느낀 자신의 짧은 생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공무원이란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나아가 서로 만나 함께 돕고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등을 내어주는 다리라는 비유를 통해, 공무원이 수행해야 할 봉사와 헌신의 의미를 되새긴다.
궁극적으로 김 주무관은 이러한 성찰을 바탕으로, 단순히 벽을 더듬으며 한 걸음씩 느릿하게 걷던 과거의 모습에서 벗어나, ‘가장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고 싶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다. 튼튼한 두 ‘다리’를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이제는 빠르게 뛰어나가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며, 처음 공무원이 되고자 했던 초심과 현재의 책임감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그의 노력이 계속될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