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가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왔지만, 많은 이들이 문화생활을 통해 소진된 에너지를 충전하려 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 소식이 접수되며, 바쁘다는 이유로 미뤄왔던 문화생활을 이번 기회에 알차게 즐길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함께 9월 25일부터 배포한 공연 할인권 36만 장, 전시 할인권 137만 장은 연말 성수기까지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지난 1차 발행 시 나타났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개선책을 담고 있다. 1차 발행 당시 6주라는 비교적 긴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발급만 받은 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 실사용률을 높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2차 할인권은 일주일이라는 짧은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남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구체적으로, 9월 25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해당 주의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며, 매주 목요일에 새로운 할인권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온라인 예매처에서 발급 및 사용이 가능하다.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 할인권이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된다. 할인 혜택은 개별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적용되므로,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권 금액보다 낮은 가격의 상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공연은 1만 5천 원, 전시는 5천 원으로 더욱 높은 할인율의 쿠폰이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된다.
다만, 할인 적용 대상은 명확히 구분된다. 공연 분야에서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 해당되며, 대중음악과 대중무용 공연은 제외된다. 전시 분야에서는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가 포함되지만, 산업 박람회 등은 할인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정책은 실제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문화예술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지만 가격 부담으로 망설였던 많은 이들에게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문화예술 향유의 문턱을 낮추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흐린 날씨가 이어지는 요즘, 실내에서 공연이나 전시를 즐길 계획이라면 이러한 할인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풍성한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