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문턱에서 찾은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굽이진 길과 철조망, 경비초소 등 분단의 현실을 상기시키는 풍경으로 가득했다. 푸르른 하늘 아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망원경으로 바라본 북한 개성의 일상은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와 연결된 통일의 과제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1층과 2층의 전시실은 분단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현재를 짚어보며 통일의 미래를 제시했으며, 특히 실향민들이 그린 ‘그리운 내 고향’ 전시는 북한 땅에 대한 그리움을 섬세하게 담아내 깊은 울림을 주었다. DMZ 철조망을 피아노 현으로 사용해 만든 ‘통일의 피아노’는 분단의 아픔과 통일에 대한 염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전시실 곳곳에는 분단의 역사, 6.25 전쟁 자료,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소개되었고,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관련 다큐멘터리가 상영되고 있었다. 야외 전망대에서는 개성 시내, 북한 마을의 논밭과 건물이 불과 몇 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날씨가 맑은 날에는 개성 시내와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까지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어, 이곳은 북한이 가장 잘 보이는 전망대 중 하나로 손꼽힌다. 서울 도심에서 차로 약 한 시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는 뛰어난 접근성 덕분에 연간 약 10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망원경을 통해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개성 주민의 일상을 엿보며, ‘가깝지만 먼 나라’라는 분단의 현실을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단순한 나들이 장소를 넘어,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이처럼 피부로 와닿는 분단의 현실은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이 우리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해보다 약 20% 이상 늘어난 1조 2,378억 원 규모의 예산안은 남북협력기금을 1조 25억 원으로 확대하며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될 예정이다. 특히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새롭게 포함되면서 국민이 통일 관련 정책을 직접 ‘보고 느끼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예산은 눈에 보이지 않는 삶의 격차, 역사적 상처, 그리고 앞으로 닦아나가야 할 평화의 길을 포함하고 있다. 예산은 크게 인도적 문제 해결(약 6,810억 원)에 이산가족 지원과 구호 활동이, 경제협력 기반 조성에는 교류 협력 보험 및 경제협력 대출이 포함되어 남북 교류 재개 시 활용될 토대 마련에 초점이 맞춰졌다. 또한, 소규모로 남북 간 문화·체육 교류, 민간 교류 사업 등이 사회문화 교류 분야에 반영되었으며, 통일 문화 체험, 민간단체 지원, 사회적 대화 프로그램 등은 국민 공감 확대 분야에 해당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예산 항목이 단순히 ‘정책 사업’으로만 머무르지 않고,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정부 예산은 곧 국민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자원으로 작동할 수 있다. 더불어,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은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의 반액 할인을 받을 수 있는 ‘DMZ 연계할인’ 혜택도 제공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마주한 북한 너머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정부 문서 속 숫자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증액된 규모와 신규 사업들을 통해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특히 인도적 지원, 경제협력, 통일 문화 및 국민 체험 사업 등이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주목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예산이 책상 위에만 머무르지 않도록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이 함께 작동해야 한다는 점이다. 화창한 날씨 속에서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했던 오두산 통일전망대처럼, 눈앞의 풍경이 통일을 향한 열망을 키우는 공간들이 더욱 많아지고, 정부 예산이 이러한 공간들을 지원하는 강력한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