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발전의 속도가 예측 불가능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으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이미 수십만 장 이상의 GPU를 갖춘 초거대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 계획을 발표하며 경쟁의 포문을 열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히 현재의 AI 모델 개발 수준을 넘어,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초지능(AGI 또는 ASI)의 출현이 임박했다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2027년 혹은 2030년경 초지능의 등장을 예고하는 전문가들의 예측과 함께, 주요국들은 AI 패권을 잡기 위한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은 AI 실행 계획을 통해 전 세계 동맹국에 미국 중심의 AI 기술을 수출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했으며, 중국은 국제 협력을 촉구하면서도 자국 기술 중심의 패권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흐름 속에서 대한민국이 AI 분야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현재 기술 수준 향상을 넘어선 전략적이고 혁신적인 접근이 시급하다.
현재 AI 모델 개발은 대규모 사전 학습과 강화학습을 통해 지능을 끊임없이 상향시키는 경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딥마인드의 제프리 힌턴 교수, 뉴욕대학의 얀 르쿤 교수 등 AI 분야의 선구자들과 저명한 연구자들은 현재의 접근 방식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며, 새로운 모델과 알고리즘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알파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데이비드 실버는 이미 인간 데이터로 AI를 학습시키는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하며, AI가 직접 세상을 경험하며 학습하는 시대로의 전환을 역설했다. 2017년 등장한 트랜스포머 아키텍처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를 넘어서는 혁신적인 연구 결과들이 도출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현재의 AI 반도체 관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차세대 AI 모델 개발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적 지원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이 미래 AI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 초지능 연구소’ 설립이 제안된다. 현재 100조 원 규모의 AI 국가 전략 실행 자금 중 극히 일부만을 미래 AI 연구에 투자하더라도, 이는 차세대 AI 기술 개발의 씨앗이 될 수 있다. 초지능 연구에는 AI 전문가뿐만 아니라 철학자, 수학자, 언어학자, 뇌과학자, 물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융합된 연구가 필수적이다.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가 엔지니어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채용하는 것처럼, 대한민국의 국가 초지능 연구소 역시 통합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더 나아가, 미래 가능성이 엿보이는 여러 국가의 연구팀을 초빙하여 대한민국에서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그 연구 결과를 인류 공동의 자산으로 공유하는 꿈을 실현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대한민국이 AI 분야의 선두 주자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연구소의 세계적인 AI 연구자들을 초빙하여 이들이 최첨단 AI 파운드리(데이터 센터)에서 마음껏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디지털 지능에 접근하는 국가 초지능 연구소를 대한민국이 설립한다면, 이는 AI 초지능 시대에 대한민국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