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핵심 허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특히, AI 기술 발전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면서 발생하는 지역 간 불균형 문제는 국가 AI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또한, 공공 부문의 AI 도입 지연과 국내 AI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 동력 약화 역시 시급히 개선해야 할 난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AI 강국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고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보에 나섰다.
과기정통부는 AI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오픈AI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이러한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를 명확히 했다. 이번 MOU의 핵심 협력 내용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문제점들을 정면으로 타개하기 위한 솔루션들을 담고 있다. 먼저, ‘한국 AI 생태계의 지역 균형 발전 협력’을 통해 수도권에 집중된 AI 역량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지역 간 AI 기술 격차를 해소하고 국가 AI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한다. 더불어, ‘공공 부문의 AI 전환 활성화 지원’은 행정, 복지, 안전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 분야에 AI를 적극 도입하여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뿐만 아니라, 미래 AI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자원인 ‘AI 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 지원’을 통해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과 실질적인 연구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인력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지원’과 맞물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들이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오픈AI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AI 확산시 한국 기업의 참여 지원’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AI 선도기업과 협력하여 국가 AI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국내 AI 생태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과기정통부와 오픈AI의 협력은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AI 분야의 지역 불균형 해소, 공공 부문 혁신, 인재 양성, 스타트업 지원이라는 한국 AI 생태계가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들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러한 협력이 성공적으로 실행된다면, 우리나라는 AI 3대 강국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허브로서 그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