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접견실 문이 열리고, 호박색 넥타이에 감색 정장 차림의 대통령이 특유의 자신감 넘치는 걸음걸이로 들어섰다.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서 날아온 취재진에게 격려의 악수를 건네는 대통령의 입가에는 잔잔한 웃음이 번졌다. 조명이 켜지고, 날카로운 질문들이 쏟아졌다. 미국 대선, 북한의 도발과 같은 외교 안보 현안에서부터 4대 개혁 등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 경제 현안, 저출생 문제까지 다양한 주제가 오갔지만 대통령의 대답은 흔들림 없었다. 대통령 앞에는 메모지 한 장 놓여 있지 않았고, 생각의 흐름은 거침이 없었다. 70분의 시간은 그렇게 흘러갔다.
이 단독 인터뷰는 세계적인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와의 만남이었다. 당장이라도 전쟁을 일으키겠다는 듯 으르렁거리는 북한의 도발 위협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4대 개혁을 완수하겠다는 대통령의 확신에 찬 모습은 취재진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이유로 뉴스위크는 커버스토리 제목을 “윤 대통령에게 가장 큰 문제는 북한이 아니다”라고 뽑은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은 “재임 중에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몇 %로 높이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퇴임 후 다음 정권에서 우리의 성장을 계속 추동할 수 있는 잠재 성장 동력을 얼마나 만들어 내는가가 재임 중에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지율이 추락해도, 중간선거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제 임기 중 이 문제가 어느 정도 풀려야 하고, 개혁과 제도 개선을 하지 않고 물러설 수가 없다”는 말은 임기 반환점을 맞은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뉴스위크는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발표된 직후 발간된 첫 잡지 커버 스토리로 윤석열 대통령을 선택했다. 대표 이미지로는 은은한 미소 속에서도 자신감 있는 표정으로 정면을 응시하는 사진을 골랐다. 이는 ‘국내적 진실(Home Truths)’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불굴의 의지로 개혁을 완수하려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이미지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판단한 결과다. 본문의 제목은 더욱 비장하게 ‘혹독한 맞바람(Harsh Headwinds)’으로 정해졌으며, 부제로는 ‘점차 더 호전적이 되어 가는 북한이라는 유령(specter)의 그림자 속에서 한국의 구조적 문제를 개혁하기 위한 윤 대통령의 전쟁(battle)’이라고 표현했다. 뉴스위크 편집팀은 “전 세계인들에게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 내 도전적 환경의 엄중함(magnitude of the challenges)을 현실적으로 부각시키려 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은 인터뷰 도중 국가안보 현안과 국내적 개혁 모두 경중을 가리기 어려운 절체절명의 과제임을 분명히 했다. 윤 대통령의 뜻이 전달되었는지, 뉴스위크는 인터뷰 일문일답의 제목으로 ‘한국 정부의 대외정책과 국내적인 개혁 과제의 추진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발언을 인용했다.
뉴스위크와 인터뷰 관련 논의는 지난 3월부터 시작되었다. 집권 2년 차를 맞아 커버 스토리로 다루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4월 총선거와 의대 정원 증원을 포함한 의료 개혁 추진 등으로 인해 시기를 잡지 못했다. 이후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다시 인터뷰 논의가 재개되어, 10월 16일에 7개월여 만에 인터뷰가 성사되었다. 커버 스토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뉴스위크 소유주인 데브 프라가드 최고경영자(CEO)와 낸시 쿠퍼 글로벌 편집장(Global Editor in Chief)이 영국에 주재하고 있는 매슈 토스테빈 선임 에디터와 함께 팀을 이루었다. 프라가드 CEO는 디지털 혁신으로 뉴스위크를 흑자로 전환시킨 경영 전문가이며, 메인 기사의 필자인 토스테빈 선임기자는 BBC와 로이터 통신에서 분쟁 지역 종군기자로 활동한 경험이 풍부한 기자다.
인터뷰는 예정된 시간을 넘겨 추가 질문 3~4개를 더 소화하며 취재진의 궁금증을 해소했다. 70분간의 인터뷰 후 이어진 화보 촬영에서도 대통령은 시종일관 밝은 표정으로 제작진의 요청에 응했다. 공식 촬영이 끝난 뒤 윤 대통령은 취재진에게 2층 접견실을 직접 소개하며, 존 F 케네디 재단이 수여한 ‘용기 있는 사람들 상’, 지난해 미국 국빈 방문 당시 선물 받은 빈티지 야구 용품, 그룹 퀸과 ‘아메리칸 파이’를 부른 돈 매클린의 레코드판 선물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후 취재진과 기념사진을 촬영하며 모든 일정을 마무리했다.
윤 대통령은 4대 개혁에 집중했지만, 뉴스위크 취재진은 남북 대치의 현장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북한의 경의선 동해선 연결도로 폭파 여파로 비무장지대 방문은 무산되었으나, 파주의 오두산 통일전망대 방문으로 아쉬움을 달랬다. 뉴스위크 기사에는 “통일전망대에는 한국의 지도자들이 통일에 대한 희망을 쓴 서예가 전시돼 있다. 화려한 문구 사이에서 돋보이는 윤 대통령의 간결한 메시지는 ‘자유, 평화, 그리고 통일’이었다”는 문구가 실렸다. 뉴스위크 측은 윤석열 대통령의 개혁 추진 의지의 강인함(resilience)과 사심 없는 결단력(selfless determination)을 두 가지 핵심 키워드로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중추국가로 도약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4대 개혁 성공은 이제 전 세계인의 관심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