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회가 직면한 저출산, 고령화, 그리고 심화되는 국토 불균형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시간이 흐르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난제들은 사회 전반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미래 성장 동력을 약화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낮은 출산율과 급격한 고령화는 미래 노동력 감소와 막대한 복지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특정 지역에만 인구와 자원이 집중되는 국토 불균형 현상은 지역 간 격차를 심화시키고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사회 문제들은 더 이상 개별적인 정책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과 일본 정상은 2025년 9월 30일 공동 발표문을 통해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저출산, 고령화, 국토균형성장과 같이 양국이 공유하는 핵심적인 사회 문제에 대한 공동의 인식과 해결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발걸음이다. 이 협의체는 단순한 대화 채널을 넘어, 각국의 경험과 정책 사례를 공유하고, 상호 학습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고령 사회 대응을 위한 연금 및 의료 시스템 개선 방안, 그리고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투자 및 규제 완화 정책 등 실질적인 협력 방안이 모색될 전망이다.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의 본격적인 가동은 한국 사회가 직면한 난제들을 극복하는 데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국의 협력을 통해 문제 해결의 폭과 깊이가 더해진다면,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국토 불균형 해소를 통해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동의 노력이 실질적인 정책 성과로 이어져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