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관광지 제주의 명성이 과거만 같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때 관광객으로 북적였던 제주의 인기가 다소 시들해졌다는 분석이다. 높은 물가 등 몇 가지 이슈가 발목을 잡고 있지만, 제주가 여전히 매력적인 땅이라는 점은 변함없다. 특히, 10년 만에 다시 찾은 ‘용머리해안’은 로컬100에 이름을 올린 제주의 유산으로서 제주 여행의 진수를 보여준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제주 도민조차 그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혹은 시간 제약으로 인해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용머리해안 방문의 가장 큰 어려움은 바닷물이 빠지는 물때에 맞춰야 하고, 악천후 시에는 출입이 통제된다는 점이다. 매일 오전 9시부터 운영되는 관광안내소에 입장 가능 시간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용머리해안이 품고 있는 역사적 가치는 실로 엄청나다. 서귀포시 안덕면에 자리한 용머리해안은 그 앞에 우뚝 선 산방산과 함께 제주의 독특한 지질학적 특징을 여실히 보여준다. 산방산이 한라산보다 먼저 생성되었고, 용머리해안은 한라산과 산방산, 심지어 제주 본토가 생기기 훨씬 이전인 약 100만 년 전에 형성된 화산체다. 얕은 바다에서의 화산 폭발로 생성된 이곳은 간헐적인 분출과 화산재의 퇴적으로 인해 세 방향으로 쌓인 독특한 지층 구조를 자랑한다. 오랜 시간 파도에 깎여 나가고 다시 화산재가 쌓이는 과정을 반복하며 만들어진 용머리해안은 제주 최초의 땅이자 태곳적 땅이라 불릴 만하다.
용머리해안의 진정한 가치는 사진이나 영상으로는 담아낼 수 없는 압도적인 풍경에 있다. 검은 현무암과 옥색 바다가 기묘하게 얽힌 풍경은 100만 년 세월의 장엄한 무게를 느끼게 한다. 작은 방처럼 움푹 들어간 굴방, 드넓은 암벽의 침식 지대, 오랜 세월 쌓인 사암층과 파도가 빚어낸 해안 절벽은 방문객에게 경이로움을 선사한다. 용의 머리처럼 생긴 바위 때문에 용머리해안이라 불리게 된 이곳은, 진시황이 이곳의 영기를 끊기 위해 보낸 사자에 의해 용의 허리와 꼬리가 끊겼다는 신화가 깃들어 있다. 이러한 신화와 지질학적 신비가 어우러진 용머리해안은 제주 최초의 속살을 만나는 듯한 황홀경을 선사한다. 바닷가에서는 거북손과 각종 어패류가 단단히 붙어 있고, 제주 할망과 아낙들이 좌판을 펴고 관광객을 맞이하는 모습은 이 거대한 자연 앞에서 인간의 존재가 얼마나 겸손해지는지를 느끼게 한다.
이처럼 100만 년의 시간과 자연이 빚어낸 장엄한 풍경을 감상한 뒤, 제주 땅과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은 단연 고사리해장국이다. 화산 지형으로 인해 물과 곡식이 부족했던 제주에서, 척박한 땅에서도 빗물을 저장하며 뿌리를 단단히 내렸던 고사리는 제주 생태계와 식재료의 시작과도 같다. 독성이 있지만 삶고 말리는 과정을 거쳐 전국에서 즐겨 먹었던 고사리는 먹을 것이 부족했던 제주에서 더욱 귀한 식재료였다. 특히 제주에서는 논농사가 어려워 돼지를 주요 가축으로 삼았고, 돼지 뼈로 우려낸 육수에 고사리를 넣어 끓인 고사리해장국은 제주 사람들의 ‘소울푸드’로 자리 잡았다. 육개장의 소고기 대신 고사리를 사용하여 풍부한 식감과 질감을 더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가루를 넣어 걸쭉하면서도 감칠맛 나는 국물을 완성한다.
고사리해장국은 겉보기에는 메밀가루 때문에 약간 갈색이 섞인 거무튀튀한 빛깔이지만, 한 숟갈 뜨면 구수한 맛이 일품이다. 메밀 전분이 풀어져 걸쭉해진 국물은 전혀 자극적이지 않으며, 제주 사투리로 ‘베지근하다’고 표현되는 깊으면서도 담백한 맛을 자랑한다. ‘베지근하다’는 말은 고기를 푹 끓인 국물이 구미를 당길 정도로 맛있다는 의미로, 속을 든든하게 채워준다는 뜻도 내포한다. 밥 한 공기를 말아 먹으면 죽처럼 되직해진 고사리해장국은 입에 걸리는 것 없이 부드럽게 넘어간다. 가난과 고통 속에서도 이토록 담백하고 유순한 맛을 만들어낸 제주 사람들의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고사리해장국집 창밖으로 보이는 유채꽃과 산방산, 그리고 산방산 아래 엎드린 용머리해안을 바라보며, 100만 년의 시간을 관통하는 듯한 깊은 감회를 느낄 수 있다. 제주를 찾은 이들은 물론, 이 감사한 음식을 맛보게 해 준 식당 주인장, 타향살이를 견디며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준 가족 모두가 “폭싹 속았수다”라는 제주 방언처럼 서로에게 수고했다는 인사를 건네고 싶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