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내수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 속에서, 지난 9월 동행축제가 총 6634억 원이라는 막대한 매출을 기록하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이는 단순한 상품 판매를 넘어 내수 시장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지난 9월 동행축제는 침체된 소비 심리를 극복하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온·오프라인을 망라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로 기획되었다. 특히 이번 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채로운 이벤트를 통해 소비 분위기를 확산시키는 데 주력했다.
행사의 구체적인 성과를 살펴보면, 온라인 판매전은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온라인에서의 성공적인 판매 사례를 입증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 또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 아래,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와 24%로 확대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결과로 분석된다. 제주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으며,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소상공인 사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상생하는 유통 구조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이와 더불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해 1000만 명이 응모한 10억 원 규모의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7개 TV홈쇼핑사 및 7개 카드사가 제공한 다양한 할인 및 캐시백 혜택은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배달의민족 또한 제주 지역 및 특별재난지역 소상공인들을 위한 할인쿠폰을 발급하며 지역 경제 회복에 힘을 보탰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정부가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대규모 국가 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는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통해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꼼꼼하게 준비될 것으로 기대된다. 9월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내수 시장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정부의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주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