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강릉 지역의 심각한 가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긴급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지난 10월 3일, 행정안전부는 강릉시의 가뭄 문제 해결을 위한 ‘관계기관 합동 가뭄TF 대책 회의’를 개최하여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의는 기후 변화로 인한 물 부족 현상이 심각해진 가운데, 관계 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회의에는 행정안전부뿐만 아니라 기상청,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여러 정부 기관이 참여하여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제공할 수 있는 지원을 검토했다. 특히, 기상청은 최근 가뭄 예보를 바탕으로 강수 증가 가능성을 분석했고, 환경부는 수자원 관리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긴급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가뭄TF 대책 회의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강릉 지역의 물 부족 문제를 단기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는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비상급수 차량 지원과 임시 저수조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가뭄 피해가 가장 심각한 농가에 대한 맞춤형 지원 대책을 마련 중이며, 이는 농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가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예상되는 피해 규모는 막대하다. 강릉 지역의 주요 작물인 감자, 고구마 등의 수확량 감소는 지역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으며, 물 부족은 주민 생활에도 큰 불편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번 TF 대책 회의는 단순한 비상 대응을 넘어, 장기적인 가뭄 대비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향후 행정안전부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가뭄 대응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추가 지원을 계획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은 강릉 지역의 안정적인 물 공급과 농업 생산성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