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수책위)는 8월 21일 회의를 통해 ‘2024년 국민연금기금 수탁자 책임활동 연차보고서’ 안건을 보고받고, 중대재해와 관련된 기업의 수탁자 책임활동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최근 중대재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ESG 평가 지표의 적절성 및 기업과의 대화 대상 요건 등을 재검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국민연금은 장기적인 수익 증대를 위해 투자의사결정 과정에서 재무적 요소뿐만 아니라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등 비재무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특히, ‘산업안전’ 분야는 사회 영역의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4개의 구체적인 지표를 통해 평가되고 있으며, 이는 안전시스템 구축 여부, 전담 조직 운영, 외부 인증 획득, 산재다발사업장 지정 등을 포함한다.
2023년에는 산업안전 관련 위험 관리가 필요한 사안을 중점 관리사안으로 설정하고, 10개 기업에 서한 발송 및 비공개 면담 등 총 18회의 기업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이러한 활동은 중대재해가 기업의 장기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추진되었다. 수책위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다양한 추가 논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며, 이는 국민연금의 책임투자 전략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연금은 앞으로도 ESG 평가 지표의 정교화 및 기업과의 소통을 강화함으로써, 산업안전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함께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