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마와 폭염이 지나고 난 후, 모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말라리아와 일본 뇌염 등 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방역 수칙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야외 활동 시 효과적인 감염병 예방을 위해 올바른 모기기피제 사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모기기피제는 크게 DEET, 이카리딘, IR3535, 그리고 파라멘탄-3,8-디올 등의 성분으로 구분된다. 각 성분별로 안전 사용 연령과 방법이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디에틸톨루아미드(DEET) 10% 이하 제품은 6개월 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10%~30% 농도의 경우 12세 이상이 사용해야 한다. 이카리딘은 6개월 미만 영아에게 사용이 금지되며, 에틸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는 6개월 미만 영아의 경우 의사 상담이 필요하다.
모기기피제는 노출된 피부나 옷 위에 얇게 바르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나 상처나 염증이 있는 부위, 점막, 눈 주위, 햇볕에 많이 탄 피부에 사용은 피해야 하며, 어린이의 경우에는 성인이 먼저 손에 덜어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과량이나 장시간 사용을 피하고, 사용 후에는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고 입었던 옷과 양말은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
향후 모기기피제 사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과 함께, 정부와 보건 당국은 모기 방제 활동과 감염병 예방 캠페인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여름철 국민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