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의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에 따르면, 도시와 군지역 간 고용시장의 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9개 도시지역에서는 취업자가 전년 동기 대비 16만 2천명 증가하여 총 1,417만 5천명을 기록했으며, 고용률은 62.6%로 0.3%p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9개 군지역의 취업자는 4천명 감소해 2,103만 3천명에 그쳤고, 고용률은 69.2%에서 0.1%p 하락했다.
특광역시 구지역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7개 특광역시의 구지역에서는 취업자가 2만 3천명 줄어 1,158만 9천명이었고, 고용률이 58.8%로 0.2%p 떨어졌다. 실업률 역시 도시지역에서 3.0%로 0.1%p 하락한 반면, 군지역과 특광역시 구지역은 각각 1.3%, 3.9%로 변화가 없거나 소폭 상승했다.
지역활동인구 또한 불균형을 보였다. 도시지역에서는 활동인구가 전년 대비 9만명 증가했으나, 군지역의 활동인구는 8천명 감소했다. 특히 특광역시 구 지역에서는 활동인구 비율이 102.4%로 상승하며 지역 내 인구 유동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 측면에서 보면, 도시지역에서는 전남 여수시와 경남 거제시의 통근 취업자 비중이 각각 98.3%, 97.8%로 높았으며, 군지역에서는 경북 울릉군과 전남 진도군이 100.0%, 99.5%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정책 수립에 있어 도시와 군지역의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군지역의 고용률 저하와 활동인구 감소는 향후 지역 발전 전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