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세 가지 핵심기술을 공개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교통 패러다임을 선도하고자 한다. 이번 기술 공개는 5G 기반 상공망(CNSi), 가상통합플랫폼(VIPP), 그리고 K-UAM 그랜드챌린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이 기술은 UAM이 상용화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안전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하늘길에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먼저 5G 기반 상공망 기술이 소개되었다. 이는 항공기가 위치를 확인하고 충돌을 예방하며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통신·항법·감시 체계로, 2022년부터 국가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최초로 개발되어 현재 1차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 기술은 향후 더욱 고도화되어 UAM의 안정적 운행을 지원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가상통합플랫폼(VIPP)이 언급되었다. 이는 실제 운항과 동일한 상황을 가상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하여 사고 예방과 교통관리 체계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UAM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영 효율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로 K-UAM 그랜드챌린지가 소개되었다. 이 실증 프로그램은 기체, 운항, 교통관리 등 상용화에 필요한 요소들을 민관이 협력하여 현장에서 점검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번 설명회에서는 지자체가 UAM 사업을 준비할 때 지역 공역 특성, 기상 조건, 인프라 배치, 안전 점검 체계, 주민 수용성 확보 방안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UAM은 눈에 띄는 기체만큼 보이지 않는 AI 운항체계가 중요하다”며, “이번 설명회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UAM 서비스를 구축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UAM이 실제로 상용화될 경우 교통·물류·관광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