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청 양산국유림관리소(소장 김병한)가 봄철 산불피해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사태 및 토석류 유출로 인한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15억 원의 국비 예산을 투입하여 산사태 예방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8월 25일부터 11월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산불로 황폐화된 국유림의 안정적인 복구를 위한 첫 단계로 기능할 것이다.
이번 사업의 배경은 3월에 발생한 산불로 인해 국유림 상당 부분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봄철의 강수량 증가와 낮은 기온으로 인해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국립산림청은 이러한 위험을 인지하고, 산사태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림청은 국유림 현장 조사를 통해 산사태로 인한 추가피해 발생 우려 지역으로 최종 선정된 지역은 총 10개소이다. 이 지역들은 봄철 강수량 변화와 기온 변화에 따라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어 사업 추진의 근거가 되었다.
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방댐 설치 2개소, 계류보전사업 2.30km, 산지사방사업 5.93ha 등이다. 특히 계류보전사업은 산사태 발생 시 물 흐름을 제어하고 토사 유출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산지사방사업은 산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데 집중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사업 착수 전, 국립산림청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8월 21일 사업 추진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설명회에서는 사업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들의 의견 및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국립산림청은 수렴된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사업에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양산국유림관리소 관계자는 “이번 산사태 예방사업은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보전하고, 내년 봄에 이뤄질 본격적인 산림 복구의 시발점이 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주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하루빨리 안정적인 산림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산림청은 산불 피해 지역의 산림 복구 사업을 통해 지역 사회의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림 복구 사업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주민들의 소득 증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훼손된 산림의 생태적 기능을 회복시켜 생물 다양성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자료 제공: 국립산림청(www.fores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