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김민석 님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8월 22일(금) 개최된 ‘2025 탄소중립 녹색성장 글로벌 협력 콘퍼런스’에 참석하여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콘퍼런스는 78개국 주한 외교단, 녹색기후기금(GCF) 사무총장, 글로벌 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총장 등 1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이 사건의 배경은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와 그로 인한 심각한 환경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탄소중립을 핵심 가치로 삼고,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함에 따라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 녹색 성장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
핵심 내용은 김민석 국무총리가 제시한 바와 같이, 이재명 정부는 재생에너지 확대, 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등 에너지 대전환을 통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글로벌 녹색 전환을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고, 녹색기후기금(GCF) 등 국제기구의 기여를 바탕으로 글로벌 녹색 전환을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더불어, 김민석 총리는 국내 기후테크 기업들의 홍보 부스를 방문하여 기업인들을 격려하고,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6개 기업(㈜나라스페이스, ㈜비티에너지㈜, ㈜터빈크루, ㈜빅텍스, ㈜스타스테크, ㈜이유씨엔씨)의 기술력을 소개하며, 이들의 혁신적인 기술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나라스페이스의 메탄 측정 초소형 인공위성, ㈜비티에너지㈜의 다중 날개 소수력 발전기, ㈜터빈크루의 태양광·풍력 등 모듈형 설계 발전은 탄소 배출 감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콘퍼런스는 2050년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을 위한 민관 합동 거버넌스로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온실가스 감축 및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 기후테크 및 글로벌 협력, 청정 에너지 협력 등 주요 의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촉구하고, 이재명 정부의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콘퍼런스의 성공적인 개최는 국가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