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가루쌀의 주요 문제점인 ‘수발아’ 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신품종 ‘바로미3’를 개발 완료했다. 2027년 농가 보급을 목표로 하는 이번 개발은 가루쌀 생산 농가의 재배 안정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신품종 개발은 가루쌀 생산의 핵심 문제인 ‘수발아’ 현상, 즉 베지 않은 곡식의 이삭에서 싹이 트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품질 저하 및 종자 발아율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수발아’는 가루쌀 생산 시 발생하는 주요 손실 요인으로, 농가들의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야기해 왔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중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바로미3’를 탄생시켰다.
‘바로미3’는 기존 품종 ‘바로미2’의 수발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교배를 통해 개발되었다. 특히, 수발아에 강한 유전자원을 도입하여 수발아 발생률을 3분의 1로 낮추는 획기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바로미2’의 수발아 발생률(67.4%)에 비해 ‘바로미3’의 수발아 발생률(17.7%)로 나타났다. 이 시험은 인위적인 수발아 검정 조건에서 진행되었다.
‘바로미3’는 수발아에 강한 특성 외에도 재배 안정성이 강화된 점이 돋보인다. ‘바로미2’보다 꽃 피는 시기가 3일 정도 늦고, 키는 10cm 짧아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가뭄, 홍수 등 기후 변화에 따른 재배 환경의 어려움에 더욱 강한 품종임을 의미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남원, 부안, 경기도 평택 등 농가 현장 평가에 참여한 농업인들은 ‘바로미3’의 수발아 발생이 줄어들고, 벼 이삭이 균일하게 자라 등숙이 양호하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의 농업인은 “바로미3는 바로미2에 비해 키가 작고, 벼 이삭이 균일하게 자라서 등숙이 양호했다. 쌀 수량은 비슷하나 수발아 발생이 적어 주변 가루쌀 재배 농가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았다”라고 말했다.
‘바로미3’는 ‘바로미2’와 동일한 분질배유를 결정짓는 유전자인 ‘flo4-4’를 가지고 있어 현미 경도와 건식 제분 특성은 유사하다. 또한, 기류식 제분 공정에서의 제분 수율이 ‘바로미2’와 유사했으며, 제과, 제빵 시 기존 ‘바로미2’에 적용했던 요리법을 따라 해도 가공 특성에 차이가 없었다. 이는 ‘바로미3’가 기존 ‘바로미2’의 요리법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촌진흥청 품종개발과 정지웅 과장은 “이번에 개발한 가루쌀 신품종 ‘바로미3’는 수발아뿐만 아니라 쓰러짐에 강한 특성으로 재배 안정성이 향상돼 재배 농가의 근심을 조금이나마 덜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은 ‘바로미3’ 신품종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국립종자원 등과 협력해 정부 보급종 종자를 조기에 생산하고, 2027년 농가 보급을 목표로 노력할 계획이다. 농가 보급 확대를 통해 ‘바로미3’는 가루쌀 생산 농가의 경제적 이익 증대와 안정적인 수입을 돕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