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상관측 기술을 해외 개발도상국에 전수하여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재해 조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국제 연수를 실시한다. 이번 연수는 6개국 기상관측 장비 관계자를 초청하여 우리나라의 첨단 기술을 공유하고,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전 세계의 재해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국제 연수는 8월 25일부터 9월 5일까지 2주 동안 진행되며, 방글라데시, 콜롬비아, 피지, 케냐, 라이베리아, 페루의 6개국 기상관측 장비 관계자들이 한국국제협력단(KOICA) 연수센터에서 참여한다. 이번 연수는 ‘재해방지 조기대응역량 강화과정 (’25-’27)’ 1차년도 과정으로, 우리나라의 기상관측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의 재해 대응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수의 핵심 내용은 기상관측 정책 및 표준화, 기상관측망 구축 및 운영, 기상측기 형식승인 및 검교정 등 기상관측장비 운영 실무에 밀접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기상 및 지진 장비 인증센터(충북 오창)를 방문하여 형식승인 기준 및 방법 등을 배우는 현장 견학을 통해 기상 및 지진 장비의 성능 검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기상측비의 정확한 운영 및 관측 데이터 활용 기술이 전수되어, 해당 국가의 기상 관측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연수 과정에는 최첨단 기상관측 장비의 기술적 특징과 작동 원리, 유지 보수 방법 등이 상세히 설명될 예정이다. 기상청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각국의 기상관측 인력들이 실질적인 기술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해당 국가들은 자국의 조기경보 체계를 강화하고, 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기상청은 “기상관측은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연수가 개발도상국 기상관측 장비 운영자들의 기상관측 역량을 높이고, 자국의 조기경보체계를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기상청장 이미선 청장은 “이번 국제 연수를 통해 글로벌 기상 관측 네트워크의 일원으로서, 기상 재난 예방 및 대응에 대한 국제 협력을 확대하고, 지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제 연수를 통해 확보된 기술 및 정보는 향후 국내 기상 관측 시스템의 발전에도 활용될 예정이며, 세계 각국의 기상 관측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