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국유림관리소(소장 김점복)는 관내 72개 마을을 대상으로 국유임산물(송이·능이·기타버섯류) 양여를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양여는 산촌 지역 주민들의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영주·봉화 등 경북 북부권은 송이·능이 등의 임산물이 풍부한 지역이다. 특히 봉화군은 매년 송이버섯을 활용한 지역 축제를 개최하고 있어 이번 양여를 통해 산촌 주민의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봉화군의 송이버섯 축제는 매년 수백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며 지역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번 국유임산물 양여는 이러한 지역의 잠재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국유임산물 양여 제도는 신청량의 10%에 해당하는 대금을 국가에 납부하고 국유림 내 임산물을 채취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제도이다. 양여 대상은 영주국유림관리소와 국유림보호협약을 체결하고 산불예방 등 산림보호 활동을 성실히 이행한 마을 주민으로, 올해는 72개 마을 618명에게 양여할 계획이다. 특히, 618명의 마을 주민들은 직접적으로 국유림에서 채취한 버섯을 판매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국유임산물 양여 제도는 단순히 임산물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산림 보호 활동에 참여하는 마을 주민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산림 보호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양여된 임산물을 활용한 지역 상품 개발 및 판매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국유임산물 양여 제도는 총 300억 원 규모의 국유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산림 보호 활동에 대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정책이다. 본 건의 양여는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소득 창출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산림 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영주국유림관리소와 국유림보호협약을 체결한 마을 주민들은 수해를 입지 않도록 산불 예방에 만전을 기해야 하며, 임산물 채취 시에는 국유림보호법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채취한 임산물은 사전에 품질 검사를 받아야 하며, 안전하게 운송해야 한다.
김점복 영주국유림관리소장은 “국유임산물 양여로 산촌 주민들의 실질적 소득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속적인 소득창출을 위해서는 산불등으로 부터 산림자원 보호에 철저를 기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본 건의 양여는 단순한 경제적 지원을 넘어,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