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ÇÑ¹Ì ºñÁî´Ï½º ¶ó¿îµå Å×À̺í, ¿¬¼³ÇÏ´Â ÀÌÀç¸í ´ëÅë·É (¿ö½ÌÅÏ=¿¬ÇÕ´º½º) È«ÇØÀÎ ±âÀÚ = ÀÌÀç¸í ´ëÅë·ÉÀÌ 25ÀÏ(ÇöÁö½Ã°£) ¹Ì±¹ ¿ö½ÌÅÏDC Àª¶óµå È£ÅÚ¿¡¼ ¿¸° ÇÑ¹Ì ºñÁî´Ï½º ¶ó¿îµå Å×ÀÌºí¿¡¼ ±âÁ¶¿¬¼³À» Çϰí ÀÖ´Ù. 2025.8.26 hihong@yna.co.kr/2025-08-26 05:45:48/
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소재 호텔에서 개최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에 참석하여, 한미 양국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제조업 르네상스’를 달성하고 새로운 ‘황금시대’를 열어갈 비전을 제시했다. 1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유치라는 성과를 거둔 이번 행사에서 이 대통령은 한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 제조업 부흥에 기여하고, 양국 간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번 행사는 30년 동안 방치되었던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재점부하고,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는 것을 목표로 개최되었다. 특히, 이 대통령은 75년전 미 해군의 결정적 활약으로 한국전쟁의 전세를 뒤집은 승리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는 한미 양국의 조선 협력 역사를 다시 한번 강조하며,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추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기사 전체 내용은 5W1H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Who (누가):** 이재명 대통령, 한국의 주요 그룹 총수(삼성전자, SK, 현대차, LG 등), 한화, HD 현대, 두산에너빌리티, 셀트리온 등, 미국 엔비디아 CEO(젠슨 황), 칼라일 그룹 공동회장(데이비드 루벤스타인), 보잉, 다나허,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 등 미국 기업 및 정부 관계자들.
* **What (무엇을):**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행사 참석 및 제조업 르네상스 관련 비전 제시, 1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 발표,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추진 논의,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 모색.
* **When (언제):** 25일 (현지시간)
* **Where (어디서):** 미국 워싱턴 D.C. 소재 호텔
* **Why (왜):** 한국의 제조업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 제조업 부흥에 기여하고, 양국 간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
* **How (어떻게):** 양국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기술 교류 및 투자 유치, 공동 연구 개발, 정부 지원을 통해 시너지 효과 창출.
이 대통령은 기조연설을 통해 “양국 기업인들이 한미 협력의 중추”라고 격려하며, “과거 미국이 한국의 초고속 성장에 기여하였듯, 제조업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대한민국이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를 달성할 최적의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또한,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제조업 르네상스를 위해 조선·원전 등 전략산업, 반도체·AI·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양국 협력을 고도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양국 간 전략적 투자·구매를 통해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자”고 역설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미국이 현재 추진하는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한국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미국 내 생산 기반을 확대하고,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의 반도체, AI, 바이오 등 첨단 산업 기술이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미국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윈윈’ 전략을 제시했다.
참석한 양국의 기업인들은 첨단산업(반도체·AI·바이오 등), 전략산업(조선, 원전, 방산), 공급망(모빌리티, 배터리) 분야로 나눠 글로벌 환경의 변화와 양국 간 산업 협력 방안은 논의했다. 특히, 공동 연구 등 양국 기술 협력과 정부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은 총 1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여, 미국 내 생산 시설 구축 및 기술 이전, 연구 개발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를 진행할 것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한미 양국 기업들이 협업할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면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황금시대를 열기 위해 기업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정부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양국 간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더욱 긴밀한 협력을 추진하여, 글로벌 경제의 리더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임을 다짐했다.
[자료 제공: 한국관광산업진흥원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