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최근 보도된 5대 금융 그룹을 중심으로 한 미국발 관세 대응을 위한 60조 원 규모의 지원책 마련 논의가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이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보도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음을 시인하며, 향후 금융권의 대응 전략 수립에 혼선을 주지 않기 위해 해당 내용을 즉시 해명했다.
금융위는 3일, 다음달 3일 금융권 최고재무책임자(CFO)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미국발 관세 관련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간담회는 미국 정부의 관세 인상에 따른 금융권의 위험 관리 및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로, 금융위는 이번 논의 과정에서 사실 관계를 명확히 하고, 금융권의 효과적인 대응을 지원할 계획이다.
보도에 따르면 5대 금융 그룹을 중심으로 약 60조 원 규모의 지원책을 마련할 것이라는 내용에 대해 금융위는 “현재까지 5대 금융그룹과 국책은행의 지원 규모를 합쳐서 구체적인 계획을 확정된 바는 없다”고 강조했다. 5대 금융 그룹(신한, KB금융, 현대카드, 하나금융, Woori)의 지원 규모는 각 그룹의 자산 규모, 위험 노출 정도, 그리고 금융 위기의 확산을 막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고려하여 결정될 예정이며, 국책은행의 추가적인 지원 계획은 상황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검토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5대 금융에 이어 국책은행들의 추가적인 계획 제출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전체 지원 규모는 약 86조 원 규모로 추산되었다는 보도 내용 또한 수정하고 재부연했다. 5대 금융그룹과 국책은행의 지원 규모를 합하면 실제로 지원될 금액은 규모가 늘어날 수 있지만, 이는 아직 구체적인 협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섣부른 추정치일 뿐임을 강조했다.
현재 미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관세 인상에 대한 금융권의 위험 관리 및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금융위와 금융권의 긴밀한 협의가 필수적이다. 금융위는 금융권의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할 계획이다.
향후 금융위는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여 금융권의 자산 건전성 확보, 유동성 관리 강화, 리스크 헤지 등 다각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금융위는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위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예상치 못한 금융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금융권의 위험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시장 심리를 확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의는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02-2100-2832)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