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이 기후변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수변지 조림에 최적화된 포플러 클론을 선발했다.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수변지의 극한 환경에서도 생장과 적응력이 뛰어난 포플러 클론 9종을 대상으로 2017년부터 경기도 양평과 서울 강서한강공원의 수변 조림지에 식재하여 2025년까지 나무의 높이, 생존율, 흉고직경, 연간 생장량 등을 비교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침수, 지하수위 상승, 불안정한 토양 조건 등 수변지의 극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는 수종을 선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진은 미루나무, 이태리포플러, 황철나무 교잡종의 포플러 클론 9종을 식재하고, 2025년까지 측정된 나무들의 생존율과 연간 생장량 데이터를 토대로 ‘Eco28’과 ‘I-476’ 클론이 수변 조림에 가장 유망한 수종으로 평가되었다.
‘Eco28’과 ‘I-476’ 클론은 특히 높은 생산성과 뛰어난 환경 적응력을 보여주며, 침수 저항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수변지 조림에 적합한 수종으로 판단되었다. 흉고직경은 가슴 높이(1.2m)에서 측정한 나무의 직경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생장 측정의 기준 지점으로 활용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의 분석 결과, ‘Eco28’과 ‘I-476’ 클론은 유사한 환경 조건에서도 뛰어난 생장량을 보였다.
국제 학술지 ‘Plants’ 8월호에 게재된 이번 연구 결과는 수변 조림 지 관리의 과학적 기반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침수 저항성 수종 개발, 친환경 조림, 탄소흡수원 확대 등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자원연구과 임혜민 박사는 “기후위기 시대에는 조림 대상지의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수종 선발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변 조림 수종을 선정하는 데 활용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본 연구는 단순한 나무의 생장 측정뿐만 아니라, 수변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인 조림 기술 개발의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