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가 1조 7968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1만 1562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기대하며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승인하고,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올해부터 토지보상 등 후속 절차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지난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되었으나,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국토부, 농림축산식품부, 충청북도 간 통합조정회의를 통해 이견을 조율하고, 정부와 사업시행자, 지자체 등 관계기관이 협의하여 산단계획을 구체화했다.
이번 국가산업단지는 412만 ㎡ 부지에 K-바이오를 선도할 핵심 거점이자, ‘켄달스퀘어’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 보스턴에 있는 세계 최고의 바이오 클러스터인 켄달스퀘어는 화이자와 모더나 등이 입주해 있어, 한국의 바이오 산업 발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단순히 바이오 기업들이 모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넘어, 바이오메디컬 캠퍼스, 바이오 기업, 주거 및 상업 시설을 함께 배치하여 연구개발(R&D)부터 사업화까지 전 주기 혁신시스템을 갖춘 바이오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국가 의료 인프라와 연계하여 연구개발 인력 양성과 혁신 성장기업 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김지연 국토정책관은 “이번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은 대한민국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바이오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단순한 산업시설의 집적을 넘어, K-바이오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고, 연구 활동과 근로자의 삶이 조화를 이루는 산업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오송은 이미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바이오폴리스 등 기존 바이오산업단지가 조성된 지역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을 비롯해, 바이오기업과 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지원센터 등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에 더해, 오송 지역의 기존 바이오 산업 인프라를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K-바이오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단순한 산업단지 건설을 넘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담보하는 중요한 프로젝트”라고 밝혔다. 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문의는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 산업입지정책과(044-201-3700)로 연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