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인 대기오염 문제는 국경을 초월하는 심각한 환경 문제로, 효과적인 해결책 마련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급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은 9월 2일부터 4일까지 킨텍스(고양시 일산서구 소재)에서 ‘제16차 환경위성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국립환경과학원을 비롯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 우주국(ESA), 독일 항공우주센터(GAC),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 의사회(UN ESCAP) 등 국내외 20여 개 기관이 참석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단순한 정보 공유를 넘어, 전 지구적 대기오염 문제 해결이라는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특히, 2020년 세계 최초로 발사된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 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pectrometer)을 통해 아시아 전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관측해 온 국립환경과학원의 노력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대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GEMS를 통해 얻은 광역적인 대기오염 관측 자료는 정확한 오염원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 전략 수립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학술대회에서는 GEMS 외에도, 2023년 세계 2번째로 발사된 미국의 정지궤도 환경위성 TEMPO(Tropospheric Emissions: Monitoring of Pollution)와 올해 7월 세계 3번째로 발사된 유럽의 정지궤도 환경위성 Sentinel-4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들이 소개될 예정이다. 각국의 위성 자료를 통합 분석하여 북반구 대기오염물질 동시 관측을 위한 3개 위성 간 공동연구 계획 등을 논의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인 대기오염 감시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번 학술대회의 첫째 날에는 연세대학교 김준 교수의 환경위성 연구 성과 및 향후 계획 발표를 비롯하여, 유럽 우주국 클라우스 제너 박사의 유럽 저궤도 환경위성인 센티넬-5P 위성 운영 현황 발표, 캐나다 요크대학교 톰 맥클로이 교수의 환경위성 개발 및 운영을 통한 과학적 시사점 발표 등이 예정되어 있다. 또한, 100여 명의 연구진들이 환경위성 기반의 오존 및 전구물질(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관측, 환경위성 현황과 위성 활용,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유발물질 관리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부 성지원 부장은 이번 학술대회가 전 세계 환경위성 분야 최고 연구자들의 만남의 장이 될 것이며, 지속적인 국제 협력을 통해 전 지구 대기오염물질 감시 및 관리 체계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얻어지는 시너지 효과는 전 지구적 대기오염 문제 해결에 획기적인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각국의 환경위성 자료 공유 및 공동 연구를 통해 얻은 정확한 데이터는 보다 효율적인 대기오염 저감 정책 수립 및 실행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