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8월 28일 경남 거제에서 ‘국가 농경지 환경자원 관리기술 사업’ 연구 성과 공유를 위한 공동 연수회를 개최했다. 이 사업은 ‘공익직불제’와 ‘농업환경 보전 프로그램’ 등 주요 정책 사업의 추진 근거 마련, 농업자원과 농업환경 실태조사, 농약·중금속 등 유해 물질 안전관리 기술 개발 등 총 14개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오랜 시간 고입투입·집약적 농법으로 인해 국내 농업 환경에 환경 부하가 가중되고 있다는 문제 인식에 기반하여, 농업과 농업환경의 안전 관리,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국가 주도의 체계적인 연구 개발 및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번 공동 연수회는 ‘2025년 한국토양비료학회 정기학술대회’ 특별 분과(세션)로 마련되었으며, 농촌진흥청, 9개 도 농업기술원, 대학, 농산업 업계 등 전국 농업환경 관련 연구자와 전문가 50여 명이 참석했다. 연수회에서는 전국 단위 농업환경자원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농업환경지표 산정’, ‘공익직불제 이행 점검을 위한 토양 적정범위 설정’, ‘농림축산식품부 친환경농자재 지원사업 공급 기준 마련과 효과 평가’ 등 친환경 농업 정책 지원 기술 개발 성과가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특히, 농촌진흥청 농업환경부 이상재 부장은 “이번 공동 연수회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농업을 위한 연구 결과를 학계에 공유하고, 농업환경 보전과 농업 관련 국정과제의 효율적 지원 방안을 찾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다”라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정량화 연구로 공익직불제 시행 추진 근거를 마련한 바 있으며, 1999년부터 체계적인 농업환경 실태조사로 선진국 수준의 농업환경 관리 토대를 마련해 왔다. 이러한 노력들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 환경 구축과 친환경 농정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