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 통상장관 간의 경제협력 방안 및 통상 현안 논의가 9월 1일 서울에서 더글라스 알렉산더 영국 기업통상부 통상 담당장관과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간에 이루어졌다. 이번 협의는 글로벌 통상 환경 하에서 양국 산업 및 통상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한-영 간 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영국은 현재 한국과의 25위 교역국(2024년 기준 112.1억 불)으로서, 2011년 1월 발효된 한-영 자유무역협정(FTA)을 기반으로 양국 간 교역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또한, 영국은 한국의 유럽 내 제3위(24년 누적) 투자 파트너로서, 양국 기업 간 활발한 투자와 기술 협력은 양국 협력의 핵심적인 토대 위에 놓여 있다.
여한구 본부장은 이번 협의에서 한-영 FTA 개선 협상 및 한-영 공급망 대화 등 양국 간 산업 및 통상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며,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양국이 견고한 경제협력 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야 할 것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영국 정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산업 전략과 통상 전략을 평가하며, 양국 협력 강화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특히, 이번 협의에서는 영국 정부가 최근 도입한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한 우려가 집중적으로 제기되었다. 여한구 본부장은 탄소국경조정제도가 충분한 사전 준비 기간을 통해 도입되어야 하며, 우리 기업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영국이 시행한 철강 세이프가드 강화 조치와 전기차 보조금 제도에 대한 우리 업계의 우려와 요청사항을 전달하면서,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해 영국 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간곡히 당부했다. 영국 정부가 탄소국경조정제도와 관련된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한국 기업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었다. 양측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한-영 경제협력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을 약속하며,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미래를 만들어갈 것을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