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리협정 이행의 핵심인 개도국의 기후 투명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 협력의 장이 인천에서 열렸다. 환경부와 지구환경금융(GEF)이 공동 주최한 ‘제2차 글로벌 투명성 포럼’은 9월 3일부터 5일까지 송도컨벤시아에서 진행되었으며, 85개국 개도국 공무원과 주요 국제기구, 다자개발은행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여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투명성 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파리협정 제13조에 따른 강화된 투명성 체계(ETF)의 효과적인 이행을 지원하고자 마련되었다. ETF는 개도국이 제출하는 격년투명성보고서(BTR)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활동 여부를 점검하는 제도로, 지난 ’24년 일본에서 개최된 제1차 포럼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행사이다. ‘변화를 위한 투명성, 제도 강화와 이행 의지 제고’라는 주제 아래, 각국은 첫 번째 BTR 작성 경험과 교훈을 공유하며 기후 투명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투명성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국제적 신뢰를 구축하는 핵심 도구이며, 이는 각국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국제탄소시장에서 발생하는 감축분을 검증하는 근거가 된다. 이번 포럼은 이러한 투명성 보고와 검토 과정을 정책, 투자, 협력으로 연결하는 실질적인 논의의 장으로 기능했다.
포럼 첫날인 3일에는 고위급 대화가 개최되어 개도국과 선진국 대표가 함께 참여했다. 한국 정부를 대표하여 참석한 환경부 정은해 국제협력관은 우리나라의 투명성 제도 운영 경험을 공유하며 국제사회의 협력과 실천 강화를 촉구했다. 또한,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우리나라의 BTR 준비 과정에서 얻은 성과와 과제, 그리고 향후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발표하며 개도국들의 이해를 도왔다. 둘째 날에는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설계를 중심으로 정책과 투자의 연계 방안, 기후 재원 활용, 국제협력 사례 등이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더불어 ‘투명성 바자회’에서는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관계자들이 프로그램, 재원, 기술을 연계하는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가졌다. 마지막 날에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투명성 제도화 사례를 발표하며 다른 국가들에 적용할 수 있는 모범 사례를 발굴했으며, 지구환경금융(GEF) 등 국제기구는 개도국의 투명성 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프로그램과 향후 자원 활용 계획을 소개하며 협력 의지를 다졌다.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은 “투명성은 단순한 보고 의무를 넘어 국가 간 신뢰를 구축하고 기후 행동을 가속화하는 핵심 기반”이라며, “이번 행사가 각국의 경험과 도전을 공유하고, 새로운 협력과 투자를 창출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을 통해 개도국의 기후 투명성 역량이 강화되고, 실질적인 기후 행동으로 이어지는 국제 협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