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정부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총괄하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무상원조 수행 체계 전반에 대한 질적인 개선이 추진된다. 새 정부가 개발도상국 국민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 역시 체감할 수 있는 국제개발협력을 실현하겠다는 목표 아래, KOICA의 효율성, 투명성, 책무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 논의가 본격화된 것이다.
외교부는 최근 「KOICA 제도개선 및 역할 재정립 TF」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외교부와 KOICA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TF를 공식적으로 발족시켰다. 이 회의에서는 TF의 운영 계획과 함께 제도개선 추진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김진아 제2차관은 개회사에서 이러한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KOICA가 우리 정부 무상원조의 상당 부분을 집행하는 핵심 기관으로서 스스로 집행 제도를 개선하고 대표 수행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TF에 당부했다. 이는 단순히 사업 규모를 늘리는 것을 넘어, 국제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부응하는 보다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국제개발협력 수행 역량을 갖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날 발족된 TF는 앞으로 약 3개월간 집중적인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올해 12월까지 KOICA의 사업 발굴부터 수행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면밀히 점검하고, 관련 지침의 개정 필요성을 면밀히 파악하여 실질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TF는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마련된 KOICA의 개선된 수행 체계가 타 기관에도 긍정적인 참고가 될 수 있도록 모범 사례로 만드는 작업도 병행한다. 또한, 다른 관련 부처 및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무상원조 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제도 역시 확대 및 개선하는 방안까지 모색할 예정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KOICA는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더욱 신뢰받는 전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