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대한민국 응급의료체계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수많은 환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응급실에 수용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응급실 미수용 문제는 복합적인 요인이 얽혀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9월 2일, 국립중앙의료원과 중앙응급의료센터를 직접 방문했다. 이번 방문의 핵심은 현장의 의료진과 직원을 격려하고, 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간담회에는 현장 직원뿐만 아니라 학회 전문가들도 참여하여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정 장관은 정부가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필수 의료서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 필수, 공공의료 강화를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그리고 응급실 미수용 문제 해결을 위해 ▲중증응급질환 최종치료 역량 중심으로 응급의료기관 지정기준 개선, ▲응급의료기관 종별 기능에 따른 차등 보상 강화, ▲신속한 이송-수용-전원체계 확립이라는 세 가지 핵심 과제를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러한 구체적인 정책들은 현장의 목소리와 전문가의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더욱 보완될 예정이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중앙응급의료센터, 권역외상센터, 중앙감염병병원 등을 운영하며 응급, 외상, 감염 등 국가 필수의료 분야에서 공공의료의 총괄 기관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신축 이전 절차가 진행 중이며, 완료 시 더욱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국가적 위기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능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응급의료센터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운영되는 전문 기관으로서, 중증응급환자의 이송 및 전원 조정을 지원하는 응급의료상황실 운영, 전국 400여 개 응급의료기관의 평가 및 지원, 응급의료정보통신망 구축 및 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정은경 장관은 간담회에서 “응급의료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이 소진되지 않고, 자긍심을 갖고 진료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응급의료체계에 한 치의 공백도 없도록 응급의료 현장과 함께 개선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고 추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응급실 미수용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과 국민들이 안심하고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