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사회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하는 거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정부는 민간 부문과 협력하여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넷제로 챌린지X’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올해 상반기 선정 결과, 총 21개의 기업이 혁신 기술을 인정받아 정부의 집중 지원을 받게 되었다. 이는 탄소중립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민관 협력의 성과이자,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된다.
이번 「넷제로 챌린지X」 프로젝트는 탄소중립 및 녹색성장 분야의 혁신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관련 기업, 기관, 부처와 함께 지난해 9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기업 선정 및 지원 절차에 돌입했다. 「넷제로 챌린지X」는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운영된다. 첫째, 스타트업을 직접 선발하여 보육하거나 투자하는 ‘Tier1’, 둘째, 추가적인 보육 서비스를 희망하는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Tier2’, 그리고 셋째, 규제 특례, 공공 조달, 대출, 보증, 멘토링 및 네트워킹 등 공통적인 사항을 지원하는 ‘Tier3’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각적인 지원 체계를 통해 선정된 기업들은 사업화 지원뿐만 아니라 규제 특례, 투자 유치 등 다양한 특전을 제공받게 된다.
올 상반기에는 총 170개 기업이 ‘Tier1’ 참여 기관을 통해 지원했으며, 이 중 42개 기업이 사전 검토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21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기업들은 기술 및 사업 모델의 우수성, 그리고 탄소중립 기여도 평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했다. 선정된 21개 기업의 분석 결과, 약 90%는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나머지 약 10%는 기후위기 적응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기술 분야별로는 에코테크가 33%로 가장 많았고, 클린테크와 카본테크가 각각 29%를 차지했으며, 지오테크는 9%로 나타났다. 다만, 지역별 분포에서는 수도권에 67%가 집중되어 있어 향후 지역 균형 발전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다.
정부는 하반기에도 「넷제로 챌린지X」 프로젝트를 통해 40개 이상의 기업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들은 「넷제로 챌린지X」 통합 누리집 또는 참여 기관의 누리집을 통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지원할 수 있다. 연말에는 프로젝트 참여 기관과 선정 기업들이 모여 기술 및 제품 전시, 경험 공유, 개선사항 논의 등을 위한 성과공유 콘퍼런스가 개최될 예정이다. 탄녹위 민상기 사무처 녹색성장국장은 “「넷제로 챌린지X」는 기술과 금융의 협업을 통해 기후기술 스타트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만들 계획”이라며, 관련 분야 기업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이러한 노력은 탄소중립이라는 장기적인 목표 달성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