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급변하는 해양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2026년 해양수산부 예산안이 7조 3,287억 원으로 확정되었다. 이는 전년 대비 8.1% 증가한 수치로, 북극항로 시대 선도, 해양수산 전 분야의 디지털 전환(AX) 지원, 그리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사업들이 중점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이러한 예산 증가는 대한민국을 진정한 해양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해양수산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기반 조성 및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투자 확대다.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최단거리 항로인 북극항로는 물류비용 절감은 물론, 조선, 금융, 자원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을 견인할 잠재력을 지닌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쇄빙선 및 내빙선 등 극지 항해 선박 건조 지원,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와 같은 기술 개발에 79억 원에서 677억 원으로 대폭 증액된 예산을 투입한다. 또한, 극지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도 병행하여 북극 진출을 위한 인적, 물적 기반을 다진다.
글로벌 물류 허브 도약을 목표로 북극 화물 거점 항만 육성과 대규모 친환경·스마트 항만 조성에도 총 1.66조 원이 투입된다. 부산항 진해신항, 광양항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등 주요 항만 인프라 확충은 물론, 새만금신항 북측진입도로, 평택당진항 서부두 진입도로 건설 등 수출입 화물 수송을 위한 도로망 확충도 차질 없이 진행된다. 더불어,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 강화에 발맞춰 친환경 선박 보급 확대(335억→445억 원) 및 선박 연료공급 정상화를 위한 질량유량계 설치 지원에도 나선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K-Seafood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생산, 유통, 가공, 수출 전반에 걸친 경쟁력 강화에 8,217억 원에서 9,576억 원으로 투자를 확대한다. 양식업의 스마트 전환 가속화를 위한 스마트 혁신 선도지구 조성(신규 285억 원) 및 첨단·스마트 양식 설비 보급 확대, 원양어업의 조업 능력 개선 및 어선원 안전 확보를 위한 산업 활성화(176억→218억 원) 투자가 이루어진다. 특히, 김 생산자와 가공업체 간의 안정적인 원물 확보 및 가격 안정을 위한 계약 생산 지원(신규 408억 원)이 새롭게 시작되며, 위판장 및 도매시장의 유통·출하 자금 지원(1313억→1943억 원)도 확대된다.
활력 넘치는 어촌 조성을 위해 대규모 어촌 경제·생활 거점 34개소 신규 조성 및 청년들의 어촌 정착을 위한 일자리, 주거, 생활 지원(130억→169억 원)을 강화한다. 또한, 기후 위기에 대응하여 고수온 피해 예방을 위한 양식 품종 전환 지원(신규 32억 원) 및 재해 대응 장비 보급, 재난 지원 예산(250억→493억 원)을 확대한다. 태풍 등 재해로부터 연안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비 사업(872억→1,142억 원) 강화와 함께, 갯벌 복원, 바다숲 조성 등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노력(2,295억→3,821억 원)도 병행된다.
미래 해양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투자도 과감하게 이루어진다.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신규 450억 원) 등 해양수산 분야의 인공지능 전환(AX) 예산이 333억 원에서 1,487억 원으로 대폭 증액되었다. 더불어, 해양수산 기업 대상 사업화 지원(30억→60억 원) 및 연안 소재 기업 특화 펀드 조성(신규 200억 원) 등을 통해 유망 기업 육성에 나선다. 해상풍력 계획 입지, 어업인 지원 정책 수립 등을 위한 입지 정보 분석, 영향 조사 실시(신규 20억 원)로 체계적인 해상풍력 개발을 도모하며, 해양바이오 소재 대량 생산 플랜트(충남 서천, 신규 5억 원), 해조류 바이오 스마트 팩토리(전남 완도, 신규 7억 원) 등 권역별 특성화 거점 구축 및 역노화 소재, 유전자 재조합 의약품 생산 기술 개발 등 해양바이오 신기술 R&D 투자도 확대된다.
또한, 2030년까지 해양보호구역 30% 확보를 목표로 후보지 조사 확대(1→2개소) 및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10억→134억 원) 건립을 통해 다양성을 갖춘 건강한 해양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힘쓴다. 중국 어선 등 불법 조업 대응(981억→1,092억 원) 강화, 해양연구선 건조(신규 27억 원) 및 민·군·경 AI 기반 해양 영상 분석 기술 개발(신규 35억 원)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해역 감시·관리 역량 제고도 추진된다. GPS 전파 혼신 대응 장비 보급(신규 4억 원), 해상 안개 관측 시스템 구축(신규 17억 원) 등 신종 사고 대응(5억→27억 원) 및 스마트 선박안전지원센터 건립 등 선제적 사고 예방 체계 강화(433억→517억 원)도 이루어진다.
해양 폐기물 저감을 위해 2024년 세계 최초로 시행된 어구·부표 보증금제의 대상을 자망, 부표, 장어 통발까지 확대 시행(84억→107억 원)하고, 새만금 외해역 방류수 및 이차전지 사업장 배출수 등 해역 모니터링 확대(197억→214억 원)를 통해 해양 환경 영향 여부를 철저히 감시할 예정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내년도 예산 편성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수도권 조성 등 새 정부 국정 운영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예산에 중점 투자했다”며, “해양수산부가 대한민국의 성장에 앞장설 수 있도록 국회 예산 심의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