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 지역이 재생에너지의 중심지로 도약하고, 사회기반시설(SOC)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2026년 예산안이 확정되었습니다. 새만금개발청은 2026년 예산안으로 총 2133억 원을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예산보다 73.9% 증가한 규모로, 새만금을 ‘REal 대한민국, RE100 새만금’으로 만들기 위한 본격적인 투자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예산안 편성의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새만금을 재생에너지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RE100 산업 단지 조성’이며, 둘째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접근성 개선을 위한 ‘사회기반시설(SOC) 조기 완성’입니다. 특히, 새만금은 국내 최초로 재생에너지 중심의 산업단지로 지정된 만큼,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그린 국가산업단지 구축사업 예산은 2025년 99억 원에서 2026년 120억 원으로 증액 편성되었습니다. 또한, 지역 간 연결성을 강화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지역간 연결도로 건설사업 예산은 2025년 402억 원에서 2026년 1630억 원으로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새만금 지역 내외의 교통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산업단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와 함께, 이차전지 특화단지의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 예산은 2025년 65억 원에서 2026년 44억 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와 더불어 남북3축도로 건설사업을 2025년부터 관계부처 협의를 시작하여 본격 추진할 계획입니다. 총 사업비 1조 3942억 원, 연장 21.6km 규모의 이 사업은 7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새만금 내부의 교통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물류 이동과 산업 활동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을 재생에너지의 허브로 도약시키고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하여 ‘REal 대한민국, RE100 새만금’을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러한 예산 투입과 사업 추진은 새만금이 단순한 개발 지역을 넘어, 친환경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2022년 7월 국내 최초로 지정된 ‘스마트 그린 국가산업단지 통합관제센터’가 내년에 완공되면, 재생에너지 공급을 위한 구체적인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새만금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동력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