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이 2026년도 재정 규모를 2조 1,325억 원으로 편성하며 해양 안전 확보와 해양 주권 강화에 속도를 낸다. 이는 올해 2조 331억 원 대비 4.9% 증가한 수치로, 특히 해양 구조 및 안전 관련 예산이 대폭 상향 조정된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예산 증가는 급증하는 해양 안전사고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함께, 변화하는 해양 환경에 맞는 정책 추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분석된다.
이번에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국회에 제출되는 2026년도 해양경찰청 예산안은 총 2조 1,325억 원 규모로 편성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일반회계 예산안은 전년도 1조 9,923억 원에서 947억 원(4.8%) 증가한 2조 870억 원이며, 기금안 역시 전년도 408억 원에서 47억 원(11.5%) 증가한 455억 원으로 책정되었다. 이러한 재정 확충은 해양경찰의 핵심 임무인 해양 주권 수호,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구조 안전 활동, 그리고 미래 해양 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 개발 등 다방면에 걸쳐 투입될 예정이다.
주요 사업 분야별 예산 배분을 보면, 해양 주권 분야에 5,064억 원, 구조 안전 분야에 1,475억 원, 수사 분야에 236억 원, 해양 환경 보전 분야에 292억 원, 그리고 연구 개발 등 조직 역량 강화 분야에 2,403억 원이 각각 반영되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구조 안전 분야로, 전년도 1,122억 원 대비 무려 31.5% 증가한 1,475억 원이 배정되었다. 이는 해양 안전 관련 장비 도입 및 지원 확대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해양경찰청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구체적으로, 노후화된 카모프 헬기 8대 교체 사업의 마지막 단계에 대한 예산이 이번에 반영되었다. 2021년부터 진행되어 온 이 사업은 장비 노후화, 높은 수리비용, 부품 수급의 어려움, 그리고 현대적인 열상장비 및 탐색레이더 미탑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였다. 마지막 헬기 교체 예산이 반영됨에 따라, 전국 어느 해역에서든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초기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중앙정부기관 최초로 해상에서의 실제 비행 및 수색구조 환경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는 대형 헬기 시뮬레이터 도입 예산도 이번에 포함되었다. 이는 2022년 4월 8일, 마라도 해상에서 발생했던 수색지원 활동 중 대형 헬기 추락 사고 이후 절실히 필요했던 안전 강화 조치로, 조종사의 안전을 확보하고 인명구조 등 임무 수행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함정 건조 부문에서도 노후화된 3000톤급 대형 함정과 중형 공기 부양정, 그리고 함정 탑재 고속단정 교체를 위한 예산이 반영되어, 불법 외국어선 단속 및 각종 구조 현장에서의 작전 수행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은 “국민의 해양 안전을 지키고 해양 주권을 수호하는 데 필수적인 경비, 장비, 안전 분야의 현장 중심 예산이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잘 반영되었다”고 밝히며, “남은 국회 심의 절차를 철저히 준비하여 최종 확정되는 예산을 통해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게 우리 바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예산 편성은 해양경찰청이 국민에게 더욱 안전하고 신뢰받는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도 정부예산안은 국회 심의 과정을 거쳐 올해 12월 초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