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복과 성장의 경제 기조 속에서 해양수산부가 2026년, 역대 최대 규모인 7조 3287억 원의 예산안을 편성하며 해양수산 분야의 혁신과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한다. 이는 전년 대비 8.1% 증액된 수치로,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해양수산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에 따른 조치다. 특히, 수산·어촌 분야는 3조 4563억 원(8.4% 증액), 해운·항만 분야는 2조 1373억 원(2.6% 증액), 물류 등 기타 해양산업 분야는 1조 680억 원(12.1% 증액)으로 각각 편성되어 전반적인 사업 확대와 역량 강화가 예상된다.
이번 예산안은 단순히 규모를 늘리는 것을 넘어, 기술 혁신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해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을 위해 쇄빙선 등 극지 운항 선박 건조 지원에 110억 원이 신규 투입된다. 또한, 북극 진출을 위한 기술 개발 투자도 79억 원에서 677억 원으로 대폭 확대된다. 이는 국제 환경 규제 강화에 발맞춰 국제 환경 규제 및 온실가스 감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선박 보급 확대(335억→445억 원)와 함께, 북극 항로 개발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선점하려는 전략적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거점항만, 친환경·스마트 항만, 권역별 특화 항만 등 항만 인프라 조성에 1조 6649억 원이 투입되어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미래형 항만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반을 다진다.
또한, 모두의 성장을 위한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구축이라는 기치 아래 어촌·연안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수산·해양산업 혁신에도 박차를 가한다. 양식 산업의 스마트 전환을 위해 285억 원이 신규 투입되며, K-Seafood의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수출 바우처, 물류 인프라 확충, 판로 개척 등에 546억 원에서 782억 원으로 투자가 집중된다. 대규모 어촌 경제·생활 거점 34개소 신규 조성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양식 품종 전환 및 피해 예방 장비 보급에도 250억 원에서 525억 원으로 지원이 강화되며, AI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AI 응용 제품 상용화 지원에 450억 원이 신규 편성되는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힘쓴다.
국민 안전과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 강화 또한 중요한 축이다. 흔들림 없는 해양 주권 수호와 청정한 우리 바다 환경 조성을 위해 중국 어선 등 불법 조업 대응 예산이 981억 원에서 1122억 원으로 증액되며, 우리 해역 감시 관리 역량 강화에 62억 원이 신규 투입된다. 해상 사고 위험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예산도 438억 원에서 565억 원으로 늘어난다. 더불어, 깨끗한 바다 환경 조성을 위한 어구·부표 보증금제 확대에 84억 원에서 107억 원으로 예산이 늘어나는 등 지속 가능한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노력도 병행된다.
이번 2026년 해양수산부 예산안은 미래 해양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해양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국민의 안전 및 해양 주권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러한 투자를 통해 대한민국은 해양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국민들에게는 더욱 안전하고 풍요로운 해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