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부터 건강보험료율이 7.19%로 올해 대비 0.1%p 인상된다. 이는 3년 만에 이루어지는 불가피한 결정이지만, 정부는 국민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보장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보험료 인상은 최근 몇 년간 지속된 건강보험 재정 부담 증가와 의료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보험료율 인상으로 직장가입자는 월평균 2235원, 지역가입자는 월평균 1280원의 보험료가 오르게 된다. 구체적으로 직장가입자의 경우, 2025년 월평균 15만 8464원에서 2026년 16만 699원으로, 지역가입자는 2025년 월평균 8만 8962원에서 2026년 9만 242원으로 조정될 예정이다. 이는 전체 보험료율의 0.1%p 상승에 따른 것으로, 국민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
인상된 보험료는 국민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필수 의료 보장을 강화하는 데 집중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특히, 희귀·난치 질환 치료에 대한 보장을 확대하고, 지난 9월 1일부터 다발골수종 환자의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는 등 중증 질환 환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또한, 본인부담상한제와 같은 제도를 통해 고액의 의료비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지역·필수·공공 의료 강화라는 큰 틀 안에서 추진된다. 또한, 국민들의 높은 수요를 반영하여 간병비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투자도 병행될 것이다. 정부는 지속적인 지출 효율화와 철저한 재정 관리를 통해 건강보험의 재정 안정성을 더욱 높이고, 국민들이 안심하고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더 든든한 대한민국과 더 건강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국민 모두의 동참을 촉구하는 행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