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 지역의 유서 깊은 사찰인 광흥사에서 조선시대 불교 건축과 사찰 운영의 중요한 변화를 담고 있는 응진전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되었다. 이는 오랜 역사 속에서 사찰의 중심 기능을 수행하며 변화를 겪어온 광흥사 응진전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광흥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조선 전기에는 불경 간행이 활발했던 안동 지역의 중심적인 사찰로서 깊은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명확하지 않지만, 1647년(인조 25년)에 이루어진 기와 공사를 통해 당시에도 이미 존재했던 건물임을 짐작할 수 있어,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타깝게도 1827년과 1946년, 두 차례에 걸친 큰 화재로 인해 주불전이었던 대웅전을 비롯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었기에 화를 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응진전은 사실상 광흥사의 중심 불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이는 희소성 있는 역사성을 부여한다.
건축적 측면에서 「안동 광흥사 응진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에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정면의 공포는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한 다포 양식으로 화려하게 조성되었으며, 이는 화반으로 장식된 옆면과 뒷면의 기둥 위 공포 배치와 대비를 이루며 정면을 더욱 강조하는 효과를 낳는다. 특히, 이러한 공포 양식은 조선 전기의 건축 양식을 계승하여 조선 중기, 후기에 이르는 불전 건축 양식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주는 형태를 지니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더불어,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 역시 주목할 만하다.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불상들은 예술성이 뛰어나며, 총 42구에 달하는 많은 수와 독특한 배치 방식은 일반적인 사례와 비교했을 때 학술적 가치를 더욱 높여준다.
이번 「안동 광흥사 응진전」의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지정 예고는 조선시대 건축 양식의 변천사와 사찰 운영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통해 이 유산을 보물로 최종 지정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보호하는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